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음악교육연구 53권4호_표지_앞면(1213).jpg
SCOPUS 학술저널

중등예비음악교사의 교육실습과정 실태 및 인식조사

A Study on Current State and Perception of the Practicum Process among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DOI : 10.30775/KMES.53.4.335
  • 13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소재의 중등예비음악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실습과정에 대한 실태 및 인식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2023년도에 교육실습을 경험한 전국 사범대 및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중등예비음악교사 140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실습학교에서 진행되는 오리엔테이션의 개선이 필요함이 나타났다. 둘째, 교육실습의 내용과 지도교사들의 지도에서 ‘학교 업무나 교사 역할’에 대한 지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교사가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실습기간은 ‘4주’라는 의견이 제일 많았다. 넷째, 음악수업 참관 횟수가 높을수록 실습생의 만족도는 높았으나, 음악수업 시연 횟수는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실습과정에서 교육실습기간과 실습학교 기자재에 대해 개선이 필요함이 나타났다. 여섯째, 교육실습 경험과 내용은 실습생들이 이상적인 실습 환경, 내용, 그리고 실습에서의 지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기간과 예비음악교사의 음악수업 참관 및 시연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와 교육실습 전, 후 예비교사의 인식 변화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에 대한 내적 측면의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plores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s of practicum programs among 140 prospective secondary music teachers in South Korea who completed their practicum in 2023. The findings reveal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orientation programs conducted at practicum schools and in guidance on "school responsibilities and teacher roles" provided by supervising teachers. A four-week practicum period was considered ideal by most participants. Increased observation of music classes was linked to higher satisfaction, while the frequency of teaching demonstrations had no significant impact. The results also indicate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practicum duration and the availability of facilities at practicum schools. Additionally, practicum experiences influenced participants’perceptions of ideal practicum environments, content, and the importance of effective guidance.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revising practicum programs to address these issues. Further in-depth research is recommended to explore practicum duration, observation, teaching demonstrations, and factors influencing prospective teachers’perceptions before and after the practicum.

Ⅰ. 서론

Ⅱ. 교육실습의 정의 및 이해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