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포스트휴먼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교육적 함의 탐색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Exploring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Post-human Trend Analysis: Focusing on Keyword Network Analysis

  • 20
표지 (2).jpg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관련 연구물들을 통해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포스트휴먼이 가져오는 교육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따라서 포스트휴먼 연구가 등장한 2002년부터 최근 2018년 2월까지의 포스트휴먼 연구물을 분석하여, 총 2,027개의 키워드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포스트휴먼 키워드에서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흐름과 함께 인간과 기계의 관계에서 세계를 새롭게 인식하고 바라보는 관점이 확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도별 연구물을 살펴본 결과, 최근에 이를수록 포스트휴먼 관련 연구물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었으며, 인간과 기계의 융합을 넘어서 인간과 비인간의 공존에 대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분야별 연구물을 살펴본 결과, 다른 분야에 비교하여 교육학 분야에서는 비교적 한정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연구주제의 범위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현장에서는 인간에 대한 재정의와 함께 교육 주체를 새롭게 바라보고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중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research trends through post - human related researches and draws implications for post - human education. Therefore, we analyzed post human studies from 2002 when post human research emerged until February 2018, and collected a total of 2027 keyword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t Human Keyword has a new view of the worl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machines along with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yearly studies, it was found that post - human research has been increasing rapidly in recent years, and that they are dealing with the subject of human - non - human coexistence beyond the fusion of human and machine.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earch areas in this field, it has been relatively limited to the field of education compared to other fields and has not exceeded the scope of the research topic.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important to redefine the human being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o look at and understand the subject of education in a new way.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