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존 클라센의 〈모자 삼부작〉에 대한 세계관적 접근

Worldview Approach to John Klassen's Picturebooks, 〈Hats Trilogy〉

  • 15
표지 (2).jpg

그림책 텍스트는 단지 읽기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 신념과 삶에 대한 비전을 투영(project)하고 있다. 텍스트에 대한 세계관적 접근이란 이 세상과 삶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그 텍스트가 어떻게 답하고 있는가를 밝혀내려는 것으로서 미학이나 이데올로기적인 접근을 넘어선, 다학제적이며 통합적 연구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3년 Caldecott Medal을 비롯한, 다수의 그림책 상을 수상한바 있는 John Klassen의 〈모자 삼부작〉을 비평 대상으로 하여 그림책에 대한 세계관적 접근의 예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Vanhouser(2009)의 해석학적 실재론과 ‘두터운 기술’(thick description)이 해석의 전제로서 사용되었으며 신학, 해석학, 문학 비평, 그림책 미학, 독서 교육 분야의 이론 체계와 방법론이 차용되었다. 〈모자 삼부작〉에 대한 ‘기초적 읽기’, ‘검증적 읽기’, ‘분석적 읽기’를 통해 1)이 세상은 어떤 곳인가, 2)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3)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와 같은 세계관적 주제가 다루어졌으며, 〈모자 삼부작〉이 투영하고 있는 ‘허무주의’ 세계관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그림책 비평의 세계관적 접근의 구체적 논의와 실천이 이루어졌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발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어린 독자들을 위한 그림책의 본질에 대한 숙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Picture book texts can affect readers by not only providing the joy of reading, but by projecting the artist's beliefs and vision of life. The worldview approach to texts requires multidisciplinary and integrative research that goes beyond aesthetic and ideological approaches revealing how the text answer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world and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n example of a worldview approach to picture books by criticizing John Klassen 's <Hats Trilogy>, which won the Caldecott Medal in 2013 and several picture book awards. For this study, Vanhouser (2009) 's hermeneutic realism and 'thick description' were used as the premise of interpretation. Moreover, and the theoretical system and methodology in the field of theology, hermeneutics, literary criticism, picture book aesthetics and reading education were used. Through 'elementary reading', 'inspectional reading', and 'analytical reading' about the <Hats Trilog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nswered: 1) what is this world? 2) what are human beings? and 3) what should human beings do? As a result, a 'nihilism' worldview projected by the trilogy was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the concrete discussion and practice of the worldview approach to picture book criticism.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nature and vision of picture books for young readers.

Ⅰ. 서론

Ⅱ. 세계관적 접근을 위한 읽기 기술

Ⅲ. 〈모자 삼부작〉을 세계관적으로 읽기

Ⅳ. 〈모자 삼부작〉의 세계관

Ⅴ.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