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그림책 내용분석 논문의 연구 동향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of Picture Book Content Analysis : Focused on Published Papers in a Domestic Journals

  • 86
표지 (2).jpg

본 연구는 2002년도부터 2017년도까지 국내 학회지에 게재된 총 137편의 논문을 중심으로 그림책 내용분석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 경향은 2016년에 17편으로 가장 많았고, 2002년 이후 꾸준하게 수행되고 있다. 둘째, 그림책 내용분석 주제는 내적 세계와 사회적 세계가 각각 27편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가족 세계 21편, 종교 세계 12편, 문화 10편, 기타 7편, 성, 친구 및 놀이가 각각 6편, 노인, 책과 도서관과 장소가 각각 5편, 자연 세계 4편, 동물 2편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림책 내용분석 논문은 질적 연구 69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양적 연구가 47편, 혼합 연구가 21편이다. 자료수집의 경우 국내외 그림책을 함께 사용한 논문이 67편, 국내 그림책 37편, 국외 그림책 33편이었다. 넷째, 분류기준 경향은 글과 그림 텍스트를 함께 본 연구가 99편, 글 텍스트를 기준으로 한 논문이 38편, 그림 텍스트만 분석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다섯째, 장르 경향은 제시하지 않는 논문 37편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창작 그림책 36편, 사실 그림책 15편, 환상 그림책 14편, 모두 포함 11편, 옛이야기 10편이고, 옛이야기, 사실 그림책, 환상 그림책 8편, 창작과 정보 그림책 6편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학술지가 47편으로 가장 많이 그림책 내용분석 연구가 게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picture book content analysis for 137 published papers in a domestic journal from 2002 through 2017.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research trends was the highest for 2016(17 articles) and research on picture book content analysis has been consistently been conducted since 2002. Second, research topics appearing in the domestic journal were as follows: inner world and the social world 27 articles; family world 21 articles; the religious world 12 articles; cultural 10 articles; others(not included) 7 articles; sex (sex role and sexual violence), friends and playing each other 6 articles; older man, book and library and place each 5 articles; natural world 4 articles and animals 2 articles. Third,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qualitative studies 69 articles; quantitative studies 47 articles and mixed methods studies 21 articles. In the data collection, 67 articles used Korean and foreign picture books and 37 articles used domestic picture books and 33 articles used only foreign picture books. Fourth, the classification tendency was as follows: 99 articles used writing text with picture text, and 38 articles used only writing text which was not found in the picture text. Fifth, the genres of the research trends were as follows: no genres 37 articles; next created picture books 36 articles; realistic picture books 15 articles; fantasy picture books 14 articles; all genres 11 articles and old tales 10 articles. Finally, 47 articles in the KSCL&E journal had the most picture book content publish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