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페이지 포함 파일 - 차례,표지.pdf.jpg
KCI등재 학술저널

수도권 거주 중산층 베이비붐 세대의 여가 경험과 의미

Experiences and Meanings of Leisure among the Middle-class Baby Boomers Residing in Metropolitan Area

DOI : 10.25280/kjrg.33.3.4
  • 34

우리나라는 근래 베이비붐 세대가 노년층에 유입되기 시작했으며, 그들은 기존의 노년층보다 사회경제적 수준이 더 높은 편이다. 그들은 퇴직 이후 여유 시간의 활용에 관한 관심이 높지만, 그들의 여가 활동을 구체적으로 살핀 연구가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중산층 베이비붐 세대 8명을 대상으로 여가에 관한 전반적인 경험이나 의견을 탐색했다. 자료 수집 방법은 그 경험이나 의견을 담은 반구조화 질문 중심의 초점집단면접(FGI, focus group interview) 조사였다. 면접 내용의 분석 결과, FGI 참여자들의 여가 활동의 양상은 평일과 주말 차이가 있었으며, 여가 활동의 주요한 동기는 건강 유지, 사회적 관계 및 소통이었다. 그들이 여가를 즐기는 데 장애가 되는 요인은 경제적 부담, 건강 문제, 시간 부족 등이었으며, 그들이 희망하는 여가는 소액의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활동, 성취감이나 보람 등을 느낄 수 있는 활동 등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산층 베이비붐 세대가 나이가 더 들더라도 건강을 유지하면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환경 그리고 성취감이나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사회봉사 또는 소액이라도 유급으로 참여가 가능한 여가 활동을 원함을 의미한다. 본 고의 후반부에서는 기존의 노년층과 다른 베이비붐 세대의 여가 관련 요구를 고려한 여가 지원 정책이 필요함을 논했다.

In Korea, the baby boomer generation has recently begun to enter the older population, and their socioeconomic status is higher than that of previous older generations. They are interested in how they will use their leisure time after retirement, but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specifically examining their leisure activities.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experiences and opinions regarding the leisure activities of eight middle-class baby boomers residing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data collection methods was a focus group interview (FGI) survey centered on semi-structured questions that included the experiences and opinions. The primary findings of the FGI were that patterns of leisure activities differed between weekdays and weekends, and the main motivations for the leisure activities were to maintain health and to promote soci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s. In addition, factors that hinder them from enjoying the leisure activities include financial burdens, health problems, and lack of time, while the leisure activities they want are activities that can generate a small amount of income or activities that give them a sense of accomplishment or reward.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middle-class baby boomers desire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enjoy leisure activities and stay healthy as they age, and prefer leisure activities that give them a sense of accomplishment or fulfillment, such as social volunteering or paid activities. The last part of this research discussed the need for leisure support policies taking into account the unique leisure-related needs of the baby boomers,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previous older generation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