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선사·고대 인구에 대한 고고학의 이해 — 통합·과학적 접근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Archaeological Understandings on Prehistoric and Ancient Human Population: For Integrated and Scientific Approaches

DOI : 10.47439/JKRAS.2024.4.581
  • 32

과거든 현재든 ‘사회’를 이해하고자 하는 어떤 연구에서도 ‘인구’ 문제는 경시될 수 없고 실제로도 그렇지 않다. 인구 증감이 적잖은 사회·경제·문화적 변화를 추동했거나 그로 인해 유발된다고 믿어지기 때문이다. 고고학에서도 예외는 아닌 듯하다. 다만, 현대 인구학과는 달리 문헌 기록이 없는 선사나 고대의 인구, 곧 ‘고인구’를 다루다 보니, 훨씬 많은갈래의 자료로부터 정보를 얻게 되고, 자료가 다른 만큼 접근・처치법도 다양할 수밖에 없다. 최근 그런 접근과 처치는 방사성탄소연대, 유전학, 동위원소 분석, GIS 등 진전된 과학기술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그런데 ‘고인구’의 온전한 이해를 위해서, 그런 정보들은 과학성에 기반하여 생성—과학 기법을 활용한다고 과학성이 담보되는 것은 아니다—되어야 하며, 체계적으로 통합되어야 한다. 본고는 통합·과학적인 접근의 필요성에 주목하면서, ‘고인구’ 문제에 관련된 그간의 동향과 우리 학계의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아울러, 표본편향의 완화와 인구분포의 체계적 이해를 위한 방안 몇 가지도 제안한다.

Demographic understanding is crucial to the study of societies, either in the past or present. This is because it is believed that changes in population size and/or density in a given space were an impetus of and/or were generated by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transformations. This is also the case for archaeology. However, unlike demographic studies for modern populations, palaeodemography relevant to past populations that lack written records requires many more lines of evidence, and therefore many more directions of approaches. In recent times, these approaches have tended to rely heavily upon information from advanced analytical techniques, such as radiocarbon dating, genetic and isotopic analyses, GIS, and so on. Importantly, for an unimpaired understanding of palaeodemography, the information should be produced with scientific integrity—using scientific techniques does not always guarantee scientific integrity—and systematically synthesized.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palaeodemography in global and Korean archaeology, which have adopted integrated and scientific approaches of the kind. In addition, certain ways of compensating for sampling bias and achiev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istributional patterns of regional and local populations are proposed.

Ⅰ. 머리말

Ⅱ. 인구, 왜 문제 되어야 하나?

Ⅲ. 왜, 다시 인구가 문제인가?

Ⅳ. 고인구, 무엇으로 무엇을 알고자 하나?

Ⅴ. 우리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Ⅵ.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