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기대가치이론 기반 교직선택동기 유형: 초등과 중등 예비교사 간 비교

Expectancy-Value Profiles of Teaching Career Motivation: Comparing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 71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기대가치이론을 사용하여 초등과 중등 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의 수준과 유형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전국 초등 및 중등 교원양성대학에 재학 중인 335명의 온라인 설문조사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기술통계 결과 초등과 중등 예비교사 모두 노력비용와 달성가치가 높았으며, 독립표본 t-검정 결과 초등보다 중등 예비교사의 내재가치가 높았으며, 개인유용가치, 기회비용, 정서비용의 경우 초등 예비교사가 중등 예비교사보다 높았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초등 예비교사 표본에서는 ‘고기대가치-고비용’, ‘중상기대가치-중상비용’, ‘고기대가치-고노력비용’, ‘중기대가치-고개인유용-고비용’, ‘중기대가치-중비용’의 5개 프로파일이, 중등 예비교사 표본에서는 ‘고기대가치-고비용’, ‘중상기대가치-중상비용’, ‘중상기대가치-고비용’, ‘고기대가치-고노력비용’, ‘고기대가치-저비용’, ‘중기대가치-고비용’, ‘중기대가치-중비용’의 7개 프로파일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과 중등 예비교사의 교직에 대한 기대-가치-비용의 수준 차이와 교직선택동기 요인의 다양한 조합을 밝혀 학교급에 따라 비교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예비교사의 내재가치를 높여줄 교육과 내재적 가치가 높은 초등 예비교사를 선발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초중등 예비교사의 높은 비용을 낮추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levels and profiles of teaching career motivations between pre-service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using expectancy-value theory. Both groups reported high effort cost and attainment value, with secondary teachers showing higher intrinsic value and elementary teachers higher personal utility value and opportunity/emotional costs. Latent profile analysis identified 5 profiles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igh expectancy/value-high cost’, ‘moderately high expectancy/value-moderately high cost’, ‘high expectancy/value-high effort cost’, ‘moderate expectancy/value-high utility-high cost’, and ‘moderate expectancy/value-moderate cost’) and 7 profiles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high expectancy/value-high cost’, ‘moderately high expectancy/value-moderately high cost’, ‘moderately high expectancy/value-high cost’, ‘high expectancy/value-high effort cost’, ‘high expectancy/value-low cost’, ‘moderate expectancy/value-high cost’, and ‘moderate expectancy/value-moderate cost’). Based on the findings, we proposed measures to enhance and selec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ith high intrinsic values, and to reduce costs for pre-service teachers at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s.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