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 교과서에서 제시된 음악 놀이 활동을 분석하고, 향후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령 전 유아 및 학령기 아동의 음악 놀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총 16권의 교과서 중 14권에서 제시된 음악 놀이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에 포함된 음악 놀이 활동은 아동들에게 창의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상상력 발휘와 다양한 음악적 요소 탐색의 장을 마련하는 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아동들이 음악 놀이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경험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가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음이 드러났다. 특히 음악놀이 활동은 아동들의 일상적 경험과 밀접하게 연계되고, 교사가 아동의 자율성을 지지하며 창의적인 탐색을 격려하는 방식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교사들이 음악적 특징을 이해하고, 아동들이 음악 놀이를 통해 자유롭게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저학년 학생들이 음악 놀이에 더욱 주도적이고 창의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학습 내용과 지도 방법이 보완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musical play activities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integrated curriculum textbooks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improvement. Drawing on previous research on musical play, the study examines the music-related content from 14 out of 16 subject-specific textbooks.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musical play activities offer positive opportunities for children to engage creatively and actively, while encouraging the exploration of imagination and various musical elements. However,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take a more active and creative role in their musical experiences. Specifically, musical play activities should be more closely connected to children's everyday experiences, and teachers should support students' autonomy and creativity in their musical exploration. For this, teachers must understand musical characteristics and provide an environment where children can freely express their creativity through musical play.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learning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be enhanced so that younger students can participate in musical play more actively and creativel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현행 초등 1-2학년 통합교과서의 음악 놀이 경험 내용
Ⅳ. 제언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