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유아대상 영어학원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의 경험 및 인식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mothers who send their children to an English institutes for young children

  • 46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유아대상 영어학원을 선택하는 부모가 급증하는 현 실정에서 유아교육기관인 유치원이 나 어린이집 대신 유아대상 영어학원을 선택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유아 대상 영어학원의 특성과 학원에 대한 어머니의 경험, 기대, 인식 및 우려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 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며 자녀를 유아교육기관 대신 유아대상 영어학원에 보내 는 어머니 13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녀들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 대상 영어학원으로 옮긴 경우가 대다수였고, 유아대상 영어학원 선택시 온라인 커뮤니티나 주변 지인을 통해 대부분 정보를 얻고 있었다. 유아대상 영어학원은 대부분 종일제로 운영되며 학습위 주의 활동을 제공하였다. 어머니들은 영어학원의 프로그램 및 전반 운영체제와 영어 학습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자녀의 정신건강과 모국어 발달 등 부정적 효과에 대한 우려는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영어교육뿐 아니라 유아의 전인발달을 지원하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부모의 인식 제고와 객관적 정보에 기반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 하며 유아기 발달에 적합한 영어교육방법에 대한 연구 지원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English institutes for young children and examines mothers’ experiences, expectations, perceptions, and concerns regarding these institutions. A survey was conducted of 134 mothers living in Seoul or the Gyeonggi Province who send their children to English institutes for young children. The findings revealed that most children transitioned from preschool to English institutes for children offering full-day, academically oriented programs. In addition, the mothers predominantly relied on online communities or personal networks for information when selecting an English institute for their kids. Whil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operational systems, and cost-effectiveness, concerns about potential negative effects, such as mental health issue or delays in native language development were relatively minimal. It is important to enhance awareness of play-based curricula that support holistic development of children alongside English learning and to provide parents with objective information for better decision-making. Additionally, further research into English education methods suitable for early childhood development is need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