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 미래사회복지연구(15권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제주지역 노인의 고령친화환경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시 동과 읍면, 서귀포시 동과 읍면 지역 간 비교

The Effects of Age-Friendly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in Jeju : Focusing on Comparison of Four Regions

  • 43

본 연구는 제주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고령친화환경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제주시 동과 읍면, 서귀포시 동과 읍면, 4개 지역으로 구분해 분석함으로써 제주지역 생활권역별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고령친화환경 조성에 대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수집된 2020년 제주지역 노인실태조사의 65세 이상 1,000명(제주시 동 443명, 제주시 읍면 222명, 서귀포시 동 165명, 서귀포시 읍면 170명)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독립변수인 고령친화환경은 물리적·사회적·서비스 환경,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요인을 구성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개 지역별 노인의 삶의 만족도 수준은 제주시 동지역이 가장 높고, 제주시 읍면지역, 서귀포시 읍면지역, 서귀포시 동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4개 지역별 고령친화환경 수준은 물리적 환경은 제주시 동지역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사회적 환경과 서비스 환경은 제주시 읍면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지역별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고령친화환경 요인을 분석한 결과, 제주시 동지역은 사회적 환경 요인이, 제주시 읍면지역은 사회적 환경과 서비스 환경 요인이, 서귀포시 동지역은 물리적 환경 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서귀포시 읍면지역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고령친화환경 요인이 확인되지 않았다. 넷째, 지역 간 고령친화환경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제주시 읍면지역이 제주시 동지역보다 사회적 환경 및 서비스 환경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 지역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주 지역별 노인의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해 중점적으로 개선 및 추진해야 할 고령친화환경 조성 관련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n Age-Friendly Environment (AF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on Jeju Island. Specifically, it compared the Jeju-si Urban (JU), rural (JR), Seogwipo-si Urban (SU), and rural (SR) regions to suggest ways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using AFE factors. The study used 1,000 (443 JU, 222 JR, 165 SU, and 170 SR) cases from the 2020 Jeju older adults survey. The AFE variable consisted of three factors: Physical Environment (PE), Social Environment (SE), and Health Service Environment (HE).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Life satisfaction was highest in JU, followed by JR, SR, and SU. (2) Age-friendly PE had the highest levels in JU, while SE and HE had the highest levels in JR. (3) Both SE and HE positively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in JR, while SE positively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in JU and PE positively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in SU. However, none of the AFE factors in the SR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4) The influence of the SE and HE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was more significant in JR than in JU.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regional differences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older people.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 policy method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by improving AFE factors in the four regions of Jeju.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