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장년을 위한 자비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compassion program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 제2권 제2호
- 2024.12
- 1 - 22 (22 pages)
본 연구는 중장년을 위한 자비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중장년을 위한 자비 증진 프로그램 참여 전후에 자비에 차이가 있는가’였다. 이를 위하여 중장년 20명에게 중장년을 위한 자비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자기자비 척도에 대한 사전-사후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장년을 위한 자비 증진 프로그램은 자기자비의 하위요인인 자기 친절, 마음 챙김, 그리고 자기자비의 척도 전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비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장년들은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참여 후에 자기친절과 마음챙김, 그리고 척도 전체의 평균이 높아진 것이다. 본 연구는 중장년을 대상으로 한 자비 증진 프로그램을 경험적으로 적용하고 그 효과를 실제로 양적인 방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nfirms the effectiveness of a compassion program for middle-aged peopl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s there a difference in compassio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a self-compassion program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For this purpose, a compassion program for middle-aged people was conducted on 20 middle-aged participant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confirmed through pre-post analysis of the self-compassion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assion program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scale of self-kindness,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which are subfactors of self-compassion. In other words,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compassion program showed higher self-kindness, mindfulness, and the average of the overall scal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compared to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applied a compassion program targeting middle-aged people and examined its effects in practice by integr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