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월정사「금강경봉찬기도」 실태조사 연구
A Survey on the status of participants in the Diamond Sutra blessing prayer of Woljeongsa Temple in 2024
-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 제2권 제2호
- 2024.12
- 91 - 114 (24 pages)
본 실태조사 연구는 월정사에서 진행된 ‘금강경 봉찬기도’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금강경봉찬기도 참여 경험을 조사하고, 추후 프로그램기획에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태조사를 위해 개발된 조사 도구는 5개 영역(인적사항, 법회참여 및 기도발원, 만족도, 행복, 기타)의 총 23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총 1,852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1월, 3월, 8월, 10월 총 4차례 설문을 실시하고, 직접 수거하는 방법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참가자의 발원은 건강, 소원, 길상인연, 재물, 깨달음, 가족관계, 부처님 말씀, 학업정진, 극락왕생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가자들이 기도를 통해 얻은 것은 건강, 부처님 말씀, 깨달음, 소원, 길상인연, 가족관계, 재물, 극락왕생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가자들의 법회 참여 전체 만족도는 평균 4.2점(표준편차 1.05점)으로 나타났다. 만족도가 높은 지역은 수도권, 충청지역, 경상지역, 강원지역, 전라지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령대별 만족도는 20대, 40대, 10대, 50대, 30대, 60대와 70대, 80대 이상의 순서로 나타났다. 다섯째, 금강경봉찬기도의 참여 만족도와 행복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행복의 하위요인들 중 삶 만족, 긍정정서와 정적 상관이, 부정정서와는 부적상관이 나타나 금강경봉찬기도와 행복간의 상관이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찰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금강경 기도 참여자에 대한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금강경 기도 기획 시 고려해야 할 요소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factual survey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Diamond Sutra prayer’ for participants in the ‘Diamond Sutra prayer’ conducted at Woljeongsa Temple and to use it for future program planning. The survey tool developed for the survey consisted of a total of 23 questions in five areas (personal information, general participation and prayer issuance, satisfaction, happiness, and others), and a total of 1,852 participants were surveyed four times in January, March, August, and October,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by collecting them direct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participants’ origins were in the order of health, wish, good luck, wealth, enlightenment, family relations, Buddha’s words, academic progress, and paradise. Second, what the participants gained through prayer was health, Buddha’s words, enlightenment, wishes, good wishes, family relationships, wealth, and paradise. Third, the overall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with participation in the court was 4.2 points on average (1.05 points for standard deviation). The regions with high satisfaction were in the order of metropolitan area, Chungcheong area, Gyeongsang area, Gangwon area, and Jeolla area. Fourth, satisfaction by age group appeared in the order of 20s, 40s, 10s, 50s, 30s, 60s and 70s, and 80s or older. Fift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 the ‘Diamond Sutra prayer’, and among the sub-factors of happines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emotion, indicating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appi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on participants in ‘Diamond Sutra prayer’, which is based on temples,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planning ‘Diamond Sutra prayer’ in the future.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