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Forest Management Options in the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 and the Korean Buddhist Temple: The Case of Debere Menkerat Mitak Amanuel Monastery Forest in Ethiopia and Bongamsa Buddhist Temple Forest in the Republic of Korea

  • 6
커버이미지 없음

The study examined forest management practices at Debere Menkerat Mitak Amanuel Monastery in Ethiopia and the Buddhist Temple in South Korea to identify effective strategies and the challenges they fac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focus group discussion, field observations, and oral interviews with 30 key informants. The monastery in Ethiopia primarily used traditional methods, such as selective harvesting and rotational grazing, complemented by community-based conservation efforts during religious festivals. In contrast, Bongamsa Buddhist Temple, a Protected Area of Genetic Resources, received technical and financial support from the Korea Forest Service, leading to notably higher biodiversity indices. Effective forest management at Debere Menkerat Mitak Amanuel Monastery could be improved with enhanced stakeholder collaboration. Moreover, incorporating the conservation practices of the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es into national policies would be beneficial.

이 연구는 에티오피아의 데베레멘케랏 미탁 아마누엘 수도원과 한국의 봉암사 불교 사찰에서의 산림 관리 관행을 비교하여 효과적인 접근 방식과 관련된 문제들을 파악했다. 데이터는 설문조사, 포커스 그룹, 현장 관찰 및 30명의 주요 정보 제공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다. 에티오피아의 수도원은 선택적 수확과 순환적 풀어놓기와 같은 전통적인 방법을 주로 사용했으며, 종교 축제 기간 동안 지역 사회 기반의 보존 활동을 보완적으로 진행했다. 반면, 한국 봉암사는 유전자 자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한국산림청의 기술적, 재정적 지원을 받아 생물 다양성 지표가 현저히 높았다. 데베레멘케랏 미탁 아마누엘 수도원의 효과적인 산림 관리는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이 강화되어야 한다. 또한, 에티오피아 정교회(에티오피아 오르토도스 테와헤도)의 소중한 보존 경험을 국가적 정책에 통합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I. Introduction

Ⅱ. Methodology

Ⅲ. Results and Discussion

Ⅳ.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Reference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