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애인의 사회참여 및 차별경험 잠재계층에 따른 자아존중감 차이: 남성, 여성의 다집단 성장혼합모형을 중심으로
Differences in Self-Esteem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by Latent Clas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 A Multi-Group Growth Mixture Model of Male and Female
본 연구는 사회관계측정이론의 관점에서 장애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사회적 요인에 주목하였다. 그 가운데 사회참여와 차별경험에 초점을 두고, 남성과 여성의 성별 차이를 반영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1차(2016년) 자료부터 8차(2023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남성 장애인 2,194명, 여성 장애인 1,202명으로 총 3,396명이다. 연구결과 남성과 여성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차별경험의 수준 및 장기적인 변화 차이를 토대로 성별에 따라 4개의 잠재계층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남성과 여성 장애인의 사회참여 및 차별경험 잠재계층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수준 차이를 규명하였다. 남성 장애인의 경우 “소 사회참여 감소 & 대 차별경험 감소” 잠재계층의 자아존중감이 가장 낮았고, 여성 장애인의 경우 “소 사회참여 유지 & 대 차별경험 감소” 잠재계층의 자아존중감이 가장 낮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남성 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 증진, 여성 장애인의 차별경험 감소를 중심으로 남성과 여성 장애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사회적 차원의 노력에 관하여 사회복지적 정책 및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ocial factors affecting the self-esteem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meter theory, focusing on participation in social participation and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s. To this end, we used data from the second wave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specifically from the 1st (2016) to the 8th (2023) survey. Also, we examined 3,396 participants, including 2,194 men and 1,202 wom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identified 4 latent classes based on each man and woman in terms of the level and long-term changes in social participation and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ffecting the level of self-esteem. In the case of male disabled people, the self-esteem of the latent class of “decreased social participation & decreased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was the lowest, and in the case of female disabled people, the self-esteem of the latent class of “maintained social participation & decreased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was the lowes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ocial policy and practice recommendations for social-level efforts to increase the self-esteem of men and women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improving the participation of men with disabilities in social activities and reducing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mong women with disabilities.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