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국내 군생활만족도와 관련변인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Military life in Korea and Related Variables

  • 36

본 연구는 국내 군생활만족도와 관련 있는 변인의 상관관계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24년 6월까지 국내에 출간된 연구를 대상으로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44편의 연구가 최종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추출된 효과크기 수는 110개, 총 표본 크기는 15,878명, 전체효과 크기는 .52였다. 연구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단위로 분석한 조절효과분석 결과, 군생활만족도를 측정하는 척도 간에는 효과크기 차이가 없었고, 연구대상에서 병사, 간부, 혼합간의 차이는 없었다. 변인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변인단위로 분석한 결과, 개인변인보다는 관계변인에서 더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개인변인에서는 자기효능감(.52), 스트레스변인(.47) 순으로 나타났고, 관계변인에서는 병사관계, 대인관계, 상사관계, 리더십, 사회적 지지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관계긍정영역이 가장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고, 요인에서는 군요인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군생활만족도에 있어 개인보다는 관계, 군요인의 영향력이 크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군 조직의 상호작용 및 지원 체계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이어 이에 대한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to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analyse the correlation of variables related to satisfaction with military life in Korea. For this purpose, 44 studies that m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and the number of effect sizes extracted was 110, the total sample size was 15,878, and the overall effect size was 0.52. The results of the adjusted effect analysis at the study level showed no difference in effect size between the scales measuring military life satisfaction and no difference between enlisted, officer and mixed in the study population. When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the effect size was larger for relational variables than for individual variables. In terms of individual variables, self-efficacy (.52) and stress (.47) were the largest, whereas in terms of relational variables, the effect sizes were larger for soldier relationship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upervisor relationships, leadership and social support. Specifically, the effect size was largest for relationship positivity and largest for the military factor. These findings confirm that relationships and military factors have a greater impact on military life satisfaction than personal factors, and suggest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and support systems in military organisation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