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대학생의 교제폭력 및 성교육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 고찰

A Review of Domestic Previous Studies on College Students' Dating Violence and Sex Education

  • 19
표지.jpg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교제폭력 및 성교육과 관련하여 국내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대학생의 교제폭력 및 성교육과 관련하여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39편을 대상으로 연구의 일반적인 경향과 특징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일반적인 경향은 1998년부터 출판이 시작되어 2010년 이후 급증하기 시작하였고 2021년 이후 11편의 연구가 발표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서술적 조사연구가 37편으로 대부분이었으며, 유사실험연구 1편, 질적연구(사례연구) 1편이 발표되었다. 연구 주제로는 교제폭력의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교제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 요구도 조사연구 1편, 교제폭력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치료적 공연의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1편 있었다. 둘째, 교제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생태체계론적 관점에서 분류해볼 때, 개인적 측면(자아존중감, 교제폭력 인식, 폭력 허용도, 정신건강 문제, 자아존중감, 분노, 자기애 등), 가족적 측면(부모로부터의 폭력 및 학대 경험, 부모의 양육태도 등), 사회적 측면(성역할 고정관념, 성역할 태도, 사회적지지 등)에서 보고하고 있었고, 개인적 측면에서 영향 요인을 규명하는 연구들이 대부분이었으며, 사회적지지 또는 교육 프로그램 등과 관련된 연구는 드물었다.

This study reviewed 39 domestic papers on college students' dating violence and sex education. Publications began in 1998, with a significant increase after 2010, and 11 studies published after 2021. Most studies used descriptive surveys, with one quasi-experimental and one qualitative case study. The main research topics focused on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dating violence, with one study on the need for prevention program development and another on improving awareness through therapeutic interventions. From an ecological systems perspective, factors influencing dating violence were categorized into individual (self-esteem, anger, mental health issues), family (experiences of violence, parenting attitudes), and social aspects (gender role stereotypes, school violence experiences, social support). Most studies focused on individual factors, with limited research on social support or educational program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 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