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미국 이민 1.5세대 자녀들의 적응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접근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the Adaptation Process of 1.5 Generation Children of Immigrants to the United States

  • 4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6권4호_표지(0120).png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이민 한인 가정 1.5세 대학생 자녀들의 적응 경험을 이해하고 적응과정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초⋅중학교 어린 시기에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을 와서 청소년기를 거쳐 대학생이 된 미국 이민 가정의 1.5세 대학생 자녀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했다. 연구 참여자들의 근거 자료를 분석한 결과 140개의 개념과 30개의 하위범주, 12개의 상위범주가 나타났고, 이들의 적응과정에 대한 패러다임 모형을 도출했다. 연구 참여자들의 적응 과정에서 중심 현상은 ‘당혹스러움: 나를 찾기 위한 흔들리는 시계추’였고, 인과적 조건은 ‘새로운 세상으로 시선돌리기’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맞닥뜨린 다름’, ‘비빌 언덕으로서의 어른들’이였고, 중재적 조건은 ‘주류사회로 들어가 는 통로 확보하기’, ‘충격의 완충지대’, ‘만족스런 교육 환경’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나만의 대처 전략 구안하기’, ‘시각 조정하기’, ‘정체성 찾기의 몸부림’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성장한 나’, ‘정체성 만들기’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비록 이민 가정 대학생을 대상으로 도출했지만, 청소년들의 성장환경이 글로벌 수준으로 확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청소년들이 건강한 자아정체성을 형성해 가는데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도록 하는데 시사점을 주었다. 특히 청소년 개인의 건강한 심리적 적응뿐 아니라, 건강한 가족관계 및 사회관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다양한 변인들을 이해하도록 하여, 이 연구 결과가 이후 청소년의 건강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목표를 두는 가정과교육의 교육과정 개발 및 청소년 상담 분야에 정책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adaptation experiences of 1.5 generation college students from Korean immigrant families in the United States and to identify their adaptation process. To achieve this go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college students from Korean immigrant families who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with their families during their elementary or middle school years and spent their adolescence in the United Stat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140 concepts, 30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emerged, and a paradigm model of their adaptation process was derived. The central phenomenon in the adaptation proces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Confusion: A Swinging Pendulum to Find Oneself’, and the causal condition was ‘Turning One's Gaze to a New World’.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Encountering Differences’ and ‘Adults as a Support System’, while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Securing a Pathway into the Mainstream Society’, ‘A Buffer Zone of Shock’, and ‘A Satisfactory Educational Environment’.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Developing One's Own Coping Strategies’, ‘Adjusting One's Perspective’, and ‘Struggling to Find One's Identity’. The outcomes were ‘A Grown Self’ and ‘Creating an Identit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