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건강기능식품 인플루언서 마케팅 콘텐츠 및 소비자 반응 분석: 인스타그램 콘텐츠를 중심으로

Influencer marketing contents and consumer responses on Instagram: Focusing on health supplements related contents

  • 74
표지.png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건강기능식품 관련 인플루언서 마케팅 콘텐츠의 현황과 그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인스타그램에서 수집한 건강기능식품 관련 콘텐츠를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항목으로는 콘텐츠 유형 및 콘텐츠 제작자 특징, 광고 고지 유형, 댓글을 통한 소비자 반응을 포함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기능식품 관련 콘텐츠 중 인플루언서 마케팅 콘텐츠의 비중이 높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대부분 일반인에 의해 제작된 콘텐츠였다. 광고 고지는 공정거래위원회의 가이드라인을 비교적 잘 따르고 있었으나, 직접적인 판매 목적의 콘텐츠에서는 미흡한 부분이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들은 인플루언서 마케팅 콘텐츠에 대해서 긍정적인 제품에 대한 반응이나 구매 의도를 나타냈으며, 광고 고지의 여부에 따라 인플루언서에 대한 반응이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인플루언서 마케팅 콘텐츠나 광고 고지에 대해 거부하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현황과 소비자 반응을 종합적으로 이해하여, 향후 관련 연구에 대한 방향성 제안 및 소비자 보호를 위한 광고 정책 개선 및 마케팅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influencer marketing contents related to health supplements on Instagram and examining consumer responses to the contents.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health supplements influencer marketing contents collected from Instagram. The analysis included content types, characteristics of content creators, advertising disclosure, and consumer reactions shown in commen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a large number of health supplements influencer marketing contents was advertising, with most posts created by non-professional influencers. While advertising disclosures generally complied with the disclosure guidelines, some contents for sales did not follow the guidelines. Consumers demonstrated positive reactions toward products and showed purchase intentions in response to influencer marketing cont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ctions to influencers whether the contents have advertising disclosure, indicating little resistance toward influencer marketing or advertising disclosures.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e of health supplements influencer marketing and consumer responses. Also, the study would contribute to improve advertising policies for consumer protection and develop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서론

문헌 연구

연구 문제

연구 방법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