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성적 명상수행의 전통에서는 명상수행을 통해 순수의식에 도달할 수 있다고 하지만, 순수의식 상태는 실증적 방법으로 연구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순수의식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는 명료한 의식 및 변형의식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순수의식 상태를 간접적으로 측정해보려고 하였다. 130명의 참가자에게 명상수행 경험 및 내부초점과 변형의식 경험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얻었다. 자료분석 결과, 명상수행 수준과 내부초점의 명료성 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또 변형의식 경험과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순수의식 상태에 대한 심리측정적 접근이 가능함을 보여주었으며, 명상을 통해 순수의식으로 진입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해주었다.
In the tradition of spiritual meditation practices, it is believed that one can attain a state of pure consciousness through meditation.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studying pure consciousness using empirical methods. This study aimed to indirectly measure the state of pure consciousness by focusing on clear awareness and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that may emerge during this state.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participants using questionnaires that assessed meditation experience, internal focus, and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The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editation practice level and the clarity of internal focus, as well 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psychometric approach to studying pure consciousness is feasible and provide indirect evidence that meditation facilitates access to a state of pure consciousness.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