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사이론 형성의 가능성과 한계: 어느 한국 교사분야 연구자의 연구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the Building of Korean Teacher Theory: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Exploration of the Research Experience of a Korean Teacher Field Researcher
- 57
본 연구는 한국에서 30여 년 동안 교사 분야를 연구해 온 연구자의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교사이론 형성의 가능성과 한계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채택하여 한국에서 교사이론 형성은 가능한지, 교사이론 형성의 맥락은 어떠한지, 그동안 왜 한국에서 교사 이론의 형성이 어려웠는지 등에 대해 탐구하여 한국에서 교사이론 형성의 실제와 맥락을 드러내 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한국 교사이론 형성의 한계에 대해서도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교사이론으로 1) 한국 교사의 적응 양태로서의 ‘형식주의’, 2) 한국 교육개혁의 지체 요인으로서의 교사의 ‘양가성’, 3) 한국 학교 성공 요인으로서의 교사의 ‘공유리더십’ 등의 이론 형성이 가능함이 밝혀졌다. 아울러 한국 교사이론이 발전되지 못하고 단절되는 맥락과 여건도 밝혀졌는데, 연구자 ‘나’의 개인 측면, ‘연구 공동체’ 측면, ‘환경’ 측면 등 세 차원에서 저해 요인이 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 교사이론 형성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제안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history of a researcher who had been studying the teacher field for more than 30 years in Korea and to clarify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forming Korean teacher theory based on this. To this end,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method was adopted to reveal the reality and context of the formation of teacher theory in Korea by exploring whether it is possible to form a teacher theory in Korea, the context of the formation of a teacher theory in Korea, and why it has been difficult to form one in Korea. In addition, I would like to clarify the journey, conflict, and frustration of the formation of Korean teacher theory. As a result of the study, (a) formalism as an adaptation pattern of Korean teachers, (b) ambivalence as a delay factor in Korean education reform, and (c) shared leadership as a success factor in Korean schools were found. In addition, the context and conditions in which Korean teacher theory is not developed and theorized were also revealed, and three factors were found to act as limiting factors: the individual side of the researcher “I,” the research community aspect, and the environment aspect. In conclusion, suggestions are provided on what kind of efforts should be made to form Korean teacher theory.
Ⅰ. 서론
Ⅱ. 한국 교사분야 연구의 흐름과 맥락
Ⅲ. 연구방법 :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Ⅳ. 한국 교사에 대한 관심과 이론적 개념의 발견
Ⅴ. 한국 교사 분야 이론화의 단절과 좌절
Ⅵ.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