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三國史記』에 기록된 악기의 종류를 포괄적으로 정리하고 둘째, 『三國史記』의 음악사상을 밝히는 것이다. 『삼국사기』는 신라, 고구려, 백제의 순으로 삼국의 음악을 기록하였다. 그리고 각 국가의 악기 종류와 그 유래 및 관련내용을 설명하였다. 각 국가에는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3종류가 있었다. 신라의 악기는 주로 중국의 것을 개조한 것으로 기록하였지만 고구려와 백제는 자국의 악기로 설명한 점이 특별하였다. 『삼국사기』의 음악사상은 첫째, 중국에 대한 事大思想이 있었다. 둘째, 儒學의 禮樂思想이 있었다. 이는 『삼국사기』 편찬 책임자인 金富軾이 국가(고려)의 정치와 사회질서 유지 그리고 위정자의 역사적 교훈을 위해 중국 선진 유학을 종용하려는 집필의도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find and organize the types of instruments recorded in Samguksagi, and secondly, to study Samguksagi's musical ideas. Samguksagi recorded the music of the Three Kingdoms in the order of Silla, Goguryeo, and Baekje. In addition, the types of instruments in each country, their origins, and related contents were explained. Each country had three types of instruments: stringed instruments, wind instruments, and perfusion instruments. It was recorded that Silla's instruments were mainly modified from Chinese ones, but Goguryeo and Baekje were special in that they were described as their own instruments. Samguksagi's musical thought was, first, flunkeyism toward China. Second, there was Confucian Li-Yue(禮樂) thoughts. The reason for this is the maintenance of the political and social order of the Goryeo Kingdom by Kim Bu-sik, the head of Samguksagi's compilation, and the historical lessons of the leadership. In other words, it is because of Kim Bu-sik's intention to write in honor of China's Pre-Qin Confucianism.
1. 서론
2.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악기 종류
3. 삼국사기에서 찾아본 음악사상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