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중예술로 주목받고 있는 스트릿댄스를 공연예술로서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공연예술의 범위를 극장 중심의 무대 공연예술로 한정하고, 뮤지컬 『캣츠』, 넌버벌 퍼포먼스 『난타』, 무용 『호두까기 인형』을 대표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각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작품 연출, 기획·운영, 홍보·마케팅의 성공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스트릿댄스 공연에 적용하였다. 스트릿댄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공연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스트릿댄스를 레퍼토리화하여 체계적인 안무 및 무대 연출을 통해 퍼스널 브랜딩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둘째, 스트릿댄스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고 창작 기반의 전산망을 구축함으로써 스트릿댄스 공연의 창작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셋째, 단방향적인 정보 제공 방식에서 탈피하여 관객과의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홍보·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스트릿댄스가 공연예술로서의 위상을 확립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의의를 둔다. 이를 통해 스트릿댄스는 대중 예술의 경계를 넘어 공연예술로서 독자적인 영역에서 그 위치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strategies for developing street dance, which has gained recognition as a popular art form, into a performing art. The scope of performing arts in this study is limited to stage-based theater performances, and Cats (musical), Nanta (nonverbal performance), and The Nutcracker (ballet)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works. Through an analysis of these works, key success factors in directing, planning and operation, and marketing and promotion were identified and applied to street dance performanc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reet dance, the following application strategies were proposed: First, systematizing choreography and stage direction by establishing a repertoire to develop personal branding. Second, strengthening the creative capacity of street dance performances by cultivating professionals with expertise in street dance and establishing a digital creative network. Third, shifting from a one-way information delivery model to an interactive marketing strategy that enhances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This study contributes to establishing street dance as a performing art and exploring its potentia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this, street dance is expected to transcend the boundaries of popular art and secure its place as an independent genre within the performing arts.
Ⅰ. 서론
Ⅱ. 스트릿댄스의 특성과 공연 현황
Ⅲ. 공연예술의 작품 분석
Ⅳ. 작품 분석을 통한 스트릿댄스 공연의 적용
Ⅴ.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