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산과 양육을 경험한 여성의 자아실현 지속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Continuation of Self-Realization in Women who Have Experienced Childbirth and Parenting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제36권 제1호
- : KCI등재
- 2025.02
- 43 - 76 (34 pages)
본 연구는 여성의 임신과 출산 그리고 초기 양육 시기에서의 여성 자아실현에 주목, 여성이 경험하는 자아실현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Giorgi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에 따라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하여 일 또는 학업을 지속하고 있는 여성 8명을 대상으로 자아실현 경험에 관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여성이 경험하는 자아실현의 본질적 의미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4개의 본질적 주제, 19개의 주제, 72개의 중심의미가 도출되었다. 4개의 본질적 주제는 ‘상황을 감내함’, ‘당당한 나’, ‘나다운 나’, ‘삶의 균형’이다. 본 연구에서 성인기 여성은 일 또는 학업을 지속하며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끼고, 성장하기를 원하였다. 또한 참여자들은 출산과 양육 시기에도 가장 ‘나다운 모습’으로 살아가기를 원하였다. 여성들이 ‘나다운 모습’으로 살아가려는 과정에서 우선순위가 변하거나, 목표나 지향점이 수정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여성은 어머니 역할 외에도 개인의 정체성을 잃지 않고, 지속해서 자신의 잠재력을 발현할 수 있는 주체적인 삶을 모색하려는 적극성과 긍정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자아실현 경험에 관한 분석을 토대로 이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women's self-realization in pregnancy, childbirth and early parenting.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Giorgi’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study collected data based on in-depth interviews on self-realization experiences of eight women who are continuing to work or stud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ssential meaning of self-realization experienced by women, 4 essential themes, 19 themes, and 72 central meanings were derived. The four essential themes are ‘enduring the situation’, ‘confident me’, ‘being myself’, and ‘life balance’. In this study, adult women want to do their best in their current roles through activities such as work or study, feel satisfaction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tinuously learn and grow little by little. Women strive to maintain their own unique identity in addition to their role as mothers. This study discusses pastoral care for women based on an analysis of their experiences of self-actualization.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VI.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