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인의 회피애착, 역기능적 신념,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 적응적-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의 조절된 매개효과
Relationships among Christian' Avoidant Attachment, Dysfunctional Beliefs, and Fear of Missing Out: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daptive-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제36권 제1호
-
2025.02135 - 163 (29 pages)
-
DOI : 10.23909/kjcc.2025.2.36.1.135.
- 108

이 연구는 기독교인의 대인관계 문제를 돕기 위해 기독교인의 회피애착, 역기능적 신념, 소외에 대한 두려움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이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지 각각 검증했다. 이를 위해 먼저, 기독교인의 회피애착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 간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이 매개하는지 확인했다. 매개모형을 검증한 후, 역기능적 신념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 간 관계를 인지정서조절이 조절하는지 검증했다. 이때, 인지정서조절은 적응적 인지정서조절과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로 나눴으며 전체 모형은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했다. 연구자료는 국내 거주 20∼60세 기독교인 334명을 대상으로 수집했다. 그 결과, 회피애착을 지닌 기독교인은 역기능적 신념을 통해 소외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적응적 인지정서조절은 역기능적 신념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은 반면,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은 역기능적 신념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를 조절했다. 이는 인간 관계에서 회피적인 애착관계를 보이는 기독교인은 역기능적 신념과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로 인해 타인과 거리를 두려고 하면서도 자신이 소외될 것에 두려움을 경험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 상담 개입 실제, 연구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해 제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adult Christians’ dysfunctional beliefs would mediate the influence of their avoidant attachment over their ‘fear of missing out(FoMO)’.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adult Christians’ dysfunctional belief would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their avoidant attachment and FoMO.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ir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ould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their dysfunctional beliefs and FoMO. For this study, 334 adult Christians aged between 20 and 60 and living in Korea was sampl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hristian' avoidant attachment affected their FoMO through dysfunctional beliefs and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regu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ysfunctional beliefs and FoMO. In conclusion, Christian who show avoidant attachments in human relationships experienced FoMO even though they tried to distance themselves from others due to dysfunctional belief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Ⅰ.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