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IDP (Interactive Developmental Play Therapy)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제36권 제1호
- : KCI등재
- 2025.02
- 227 - 253 (27 pages)
본 연구는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감각 조절 능력 및 사회 적응 능력 향상을 위해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nteraction Developmental Play Therapy: IDP)의 효과를 분석한 사례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P시 소재의 중증 ASD 아동 복지지원 기관에 소속된 초등학생 5명으로, 이들은 모두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CARS)에서 36점 이상으로 자폐로 진단받았고, 사회성숙도(SMS)에서 50 이하로 평가된 상태였다. 참여 아동은 모두 1년 이상 치료가 중단된 상태였으며, 감각 민감성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심각한 어려움을 나타냈다. 보호자 동의를 얻어 2022년 12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주 3회, 총 18회기의 IDP를 실시하고, 사전 및 사후 평가를 통해 감각 조절 및 사회 적응 능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IDP는 모든 대상 아동의 감각 조절 능력과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유의미한 개선을 이끌었으며, 특히 사회정서 반응과 주의 집중력에서 향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IDP는 학령기 ASD 아동의 감각 조절 능력과 사회 적응 능력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that analyzed the effects of Interaction Developmental Play Therapy(IDP) to improve sensory regulation and social adaptation ability of school-ag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i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longing to a support organization for children with severe ASD in P city, Gyeonggi-do, who were all diagnosed with autism with a score of 36 or higher in the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CARS), and were rated below 50 in the Social Mature Scale(SMS). IDP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rom December 2022 to February 2023, a total of 18 sessions, and changes in sensory regulation and social adaptation ability were measured through pre and post-evaluation. In conclusion, IDP can be seen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sensory regulation ability and social adaptation ability of school-age ASD children.
Ⅰ.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