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음악교과 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Formation Process of Music Teacher Identity of First-time Elementary Teachers

  • 35
표지.png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초임 교사들의 음악교과 정체성 형성 과정을 탐구하는 것이다. 초임교사 기간에 형성되는 음악교과 정체성은 교사가 앞으로 음악을 가르치는 모습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초임 교사들의 정체성 형성 과정의 양상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과 경기도에 재직중인경력 5년 미만의 초등학교 교사 5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연구참여자 당 2~3회 인터뷰를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Stake의 사례연구방법으로 분석하여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초임교사의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하여 ‘개인적인 음악 경험과 제한된 예비교사교육에 의존하는 모습’, ‘교사의 음악교과 지식부족과 환경적 요인에 의한 어려움’, ‘음악교과에 대한 적극적인 상호작용 기회의 부족’, ‘학생 중심 교사와 다재다능한 교사의 균형을 이루려는 노력’의 4가지 주제로 나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 교육에서음악수업 참관 및 수업실연 기회 확대, 선후배 교사 간 음악교과 관련 소통 강화, 음악수업에 필요한 실기 및 음악소양 관련 연수 확대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forming music teacher identity of the first-tim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the identity formation process of first-tim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orea because music teacher identity formed during the first-time teacher period greatly affects the way teachers teach music in the future.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5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through interviews 2-3 times per research participant, and analyzed them by the case study method of Steak to derive the subjec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cess of forming the identity of first-time teachers were presented as four themes: 'relying on the personal music experience and limite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lack of knowledge of the music subject and difficulties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lack of active interaction opportunities for music subjects', 'efforts to balance student-centered and all-around teache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field of teacher education were sugges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