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컬 아티큘레이션 기호체계를 개발하여 음악 교육 환경을 개선하는 데 목적을 둔다. 그동안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악기 아티큘레이션은 존재하였지만, 보컬을 위한 아티큘레이션은 표준화되지 못하였고, 명확한 기준 없이 각 교육자의 개인적 기보 방식에만 의존해왔다. 이에, 기호 개발 연구의 명확한 지표를 삼고자 음성표현 기능의 발전 과정을 추적하였으며, 초기 가창 형태에서 발전되어 온 음성을 분리 추출하였다. 추출한 음성파형을 분석하는 과정은 ‘바리오디오(VariAudio)’를 사용한 분석으로 시각적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보컬 선율 및발성 표현에 있어 강한 유착관계를 형성한 아티큘레이션의 당위성을 도출하게 되었다. 기호체계를 통한 보컬 선율의 표현적 의미를 ‘선율 기호’로 정의하고, 발성, 공명, 호흡 컨트롤 등 소리 체계를 ‘발성 기호’로 분류하여 개발하였다. 이와 같은 직관적인 기호체계에 내포된 의미인 ‘보컬 아티큘레이션 기호’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원활한 수신관계를 형성하여 가창 교육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music education environment by developing a vocal articulation notation system. While articulation symbols for instruments have been widely used worldwide, vocal articulation has not been standardized, relying solely on individual notation methods used by educators without clear criteria. To establish a clear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is notation system, the study traced the evolution of vocal expression functions and extracted vocal elements that have developed from early singing forms. Using ‘VariAudio’ for waveform analysis, the study obtained visual data and identified the necessity of articulations closely linked to vocal melody and expression. The system categorizes expressive elements of vocal melodies as ‘melody symbols’ and sound elements, such as vocalization, resonance, and breath control, as ‘vocalization symbols.’ This intuitive notation system, referred to as ‘vocal articulation symbols,’ is expected to facilitate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educators and learners, ultimately improving the singing education environment. By providing a standardized method for expressing vocal articul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fficiency of vocal training and the advancement of arts educ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기호 개발을 위한 음성 분석
Ⅳ. 보컬 아티큘레이션 기호 개발 연구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