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계량서지학 분석과 LDA 기반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기초학력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Trends in Basic Academic Skills Research Using Bibliometric Analysis and LDA Topic Modeling

  • 34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기초학력 연구의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기초학력의 연구 흐름과 주요 주제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기초학력 보장 정책 및 교육적 지원 체계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4년까지 KCI 및 RISS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기초학력 관련 논문 582건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계량서지학적 분석과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 및 관련 법 시행 시기에 기초학력 연구가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영향력 있는 학술지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였으며, 주요 연구 분야로는 교육학이 우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가장 생산적인 연구자는 이대식 연구자였고, 영향력 있는 기관으로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확인되었다. 동시출현 단어 분석 결과, 기초학력, 학습 부진, 국어교육이 가장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둘째,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기초학력 연구는 (1)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교육과정 및 지원 방안, (2)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교사의 인식 및 교육 프로그램, (3) 학습 부진 학생을 위한 교육적 지원, (4)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심리·정서적 지원, (5) 다문화 가정 학생의 학업 성취와 교육적 지원의 다섯 가지 주요 토픽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이 다섯 가지 주제는 지속적으로 활발히 연구되어 온 ‘핫토픽’과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콜드토픽’으로 나누어졌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지원 정책 및 교육적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trends in domestic research on basic academic achievement, identify key topics,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policies and educational support systems. To achieve this, 582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CI and RISS-indexed journals between 2000 and 2024 were analyzed using bibliometric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research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periods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policies and relevant legislation. The most influential journal wa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with ‘Education’ as the dominant field. Daesik Lee was the most productive researcher, and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institution. Co-occurrence word analysis highlighted "basic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difficulties," and "Korean education" as key terms. Topic modeling identified five major themes: (1) educational curricula and support measures, (2) teacher awareness and educational programs, (3) support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4)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for low academic achievers, and (5) academic achievement of multicultural students. These themes were categorized into "hot topics" with active research and "cold topics" with declining interes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policy and educational practice implications for ensuring basic academic achievement.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