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지역연계형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지원센터의 탐색적 모델 개발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Exploratory model development of regional lifelong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 focused on Gyeonggi-do

  • 24
직업재활연구_35권1호_표지_앞면(0514).png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에서 특성화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시범사업을 통해 지역사회에서 지역연계형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지원센터의 수행을 위한 모델을 탐색적으로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 설계로 시초적인 모델화를 위해 시범사업 지역 3개 기관의 지역 특성과 현황 분석, 평생교육관련 기관 33개소를 대상으로 양적 자원조사, 3개 지역 관계자 14명을 대상으로 심층집단면접(FGI)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경기도 시범 사업을 기준으로 각 지역별 특성에 따라서 기관의 운영 방향과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자원조사결과 지역별 문제와 개선방안 그리고 각 주체들의 역할과 과제가 제시되었다. FGI 결과 3개 시범사업 지역별로 문제점, 성과, 발전방안, 모델개발을 위한 프로그램과 정책 제언이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A지역은 권역별 지원 역할, B지역은 다양한 평생교육 욕구 증가에 따른 거점기관 육성, C 지역은 사례관리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 등 3개 지역별로 모델화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함의(개념과 내용의 다양성), 실천적 함의(역할과 기능정립), 정책적 함의(인력, 조직, 연계를 위한 정책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develop a model for the operation of acommunity-based lifelong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a specialized pilot project for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Gyeonggi. In this goal, the research design included an analysis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three pilot project institutions, a quantitative resource survey targeting 33 lifelong education-related institutions, and in-depth group interviews (FGI) with 14 stakeholders from the three region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based on the pilot project in Gyeonggi, the direction of operation and programs of each institution were structu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The results of the resource survey presented the regional issues and improvement measures, as well as the roles and tasks of each stakeholder. The FGI results revealed issues, achievements, development strategies, as well as program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model development, specific to each of the three pilot project region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it was proposed to develop models tailored to each of the three regions: Region A would serve as a support hub by zone, Region B would foster key institutions in response to increasing lifelong learning demands, and Region C would focus on developing programs centered on case management.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diversity of concepts and content), practical implications (establishment of roles and func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policy recommendations for HRD, organization, and connections)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현황

Ⅲ. 연구방법과 내용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