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부부관계회복을 위한 교회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자의 내러티브 연구

A Narrative Study of Participants in a Church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Marital Recovery

  • 41
ilqpibovznjlsiollfdl.png

본 연구는 부부관계회복을 위한 교회 내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중년 부부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이다. 연구 목적으로 부부관계회복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자는 부부갈등이 완화되었는가, 부부갈등 완화의 의미는 무엇인가, 어떠한 감정과 사고의 과정으로 부부갈등 완화를 경험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서 친밀감 향상과 의사소통 활성화를 이론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부부관계회복의 개념을 알아보았고, 정서중심적 부부치료, Gottman의 건강한 결혼의 집 모형, 집단상담의 필요성과 유용성에 대해 선행연구들을 탐구하였다. 또한 B교회의 부부관계회복을 위한 구조화 집단상담 프로그램으로 연구 대상으로 하여 현장에 참여관찰 하였으며, 이에 참가한 부부들 중 세 부부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 하였다. 연구 참여부부의 내러티브는 사소한 갈등이 쌓여서 고착되었던 부부갈등의 시기, 집단상담을 경험하며 배우자와 배우자의 원가족을 이해한 시기, 이후 신앙과 부부관계회복이 상호작용한 시기로 구분하여 결과로 제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늘어나고 있는 교회들의 부부관계회복 프로그램이 나아갈 방향에 제언하였으며, 향후 교회가 교인들의 부부관계회복에 기독교적 상담자로써 수행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지 고찰하는 것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within the church aimed at restoring marital relationships, specifically focusing on middle-aged couples.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study reviewed prior studies on Emotionally Focused Couple Therapy, Gottman’s Healthy Marriage House Model, and the necessity and usefulness of group counseling.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marital relationship restoration at B Church as the research subject. Field observations were made, and three couple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for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offers suggestions on the direction of marital relationship restoration programs in churches, which have been increasingly popular, and hopes to contribute to future discussions on the role that the church should play as Christian counselors in helping parishioners restore their marital relationships.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