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음악 교사들의 과정중심평가 적용 경험을 분석하고, 그 효과와 실행상의 어려움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도권 및 중부 지역에 근무하는 중⋅고등 음악 교사 9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고, 현상학적 연구 방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정중심평가는 교사의 교육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되었으며, 학생의 음악적 성장과 학습 태도를 평가하고, 평가의 공정성과 신뢰도를 높이며, 개별화된 피드백 제공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 시수 부족, 개별 피드백의 어려움, 과정 기록 도구의 부재 등 실행상 한계도 확인되었다. 효과적인 정착을 위해 디지털 평가 지원 시스템의 구축과 교사 연수 확대 등 제도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experiences with process-based assessment, focusing on its effectiveness and practical challeng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music teachers work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nd central region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findings reveal that process-based assessment was implemen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each teacher’s educational context. It contributed to assessing students’ musical growth and learning attitudes, improving fairness and reliability in evaluation, and providing personalized feedback. However, several difficulties were also identified, including limited instructional time, challenges in offering individual feedback, and lack of tools for documenting learning processes. These limitations suggest the need for institutional support to facilitate effective implementation. Specifically, development of digital assessment support systems and expansion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are necessary to support sustainable and meaningful use of process-based assessment in music education classroom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