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tegration of Isan folk melodies into piano education as a cross-cultural approach to music pedagogy, and to develop piano lessons that preserve cultural heritage while enhancing the educational experience for students. The research followed a qualitative methodology, with informants selected purposively from four key groups: folk music experts, performance specialists, music academics and undergraduate piano students.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newly developed lessons in promoting both cultural preservation and musical innovation. The findings further highlight potential for these integrated lessons to be used in various educational settings, contributing to the broader goal of fostering cultural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in music education. The integration of Isan folk melodies into piano education represents a significant step forward in the cross-cultural approach to music pedagogy. Suggestions include integrating arts and cultural performances into public and private learning centers, offering additional potential for community engagement. The creation of Isan melody piano lessons in this study also demonstrates the potential for further educational applications and innovations in music learning, with the potential to be expanded into music learning materials tailored to various levels, incorporating historical or cultural content to enrich the educational experience.
본 연구는 이산 민속 선율을 피아노 교육에 통합하여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학생들의 교육적 경험을 향상시키는 문화 간 음악 교육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질적 연구 방법을 기반으로, 민속 음악 전문가, 공연 전문가, 음악 교육자, 피아노 전공 학부생 등 네 개 집단에서 목적 표집법으로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새롭게 개발된 피아노 수업은 문화 보존과 음악적 창의성을 동시에 촉진하며, 다양한 교육 환경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수업은 음악 교육에서 문화에 대한 이해와 감상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산 선율의 통합은 음악 교육의 문화 간 접근 방식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예술⋅문화 공연을 공공 및 민간 교육기관과 연계하여 커뮤니티 참여를 확대하고, 다양한 수준의 교육 자료로 확장 가능한 가능성을 제안한다.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Ⅴ. Discussion
Ⅵ. Conclusion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