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2022 개정 초등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의 음악 내용 재구성 방향 탐색

Exploring the Direction of Music Contents Reconstruction in the ‘Pleasant Life’ i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Curriculum

  • 30
음악교육연구 54권2호_표지_앞면(0602).png

본 연구는 2022 개정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의 변화에 발맞추어 음악교육의 목적과 가치, 정체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서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의 음악 내용 재구성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음악과 관련된 내용과 특징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누리 교육과정, 음악과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대만, 미국, 일본의 초등 저학년 음악교육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음악 기반의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향을 다양하게 모색하였다. 이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감성과 창의성을 함양할 수 있는 음악 기반의 통합교과 교육과정 마련과 더불어 ‘즐거운 생활’ 교과의 교육적 역할과 정체성 재정립을 포괄하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reconstructing music content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Pleasant life based on music, in order to strengthen the purpose, value, and identity of music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changes introduced in the 2022 revised Pleasant life curriculum. First, the Pleasant life curriculum was analyzed to identify its music-related content and characteristics. Next, the connection between the Nuri curriculum and the music curriculum was examined. In addition, cases of music education for 1st and 2nd grades elementary schools in Taiwa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ere analyzed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various directions were explored for the restructuring of the music-based integrated curriculum Pleasant life. These proposal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encompass both the development of a music-based integrated curriculum that can foster the sensibility and creativity of lower elementary students and the redefinition of the educational role and identity of the Pleasant life subje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초등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

Ⅳ. 요약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