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Trunthung Music as an Informal Educational Model for Decolonizing Music Education: A Case Study in Cultural Context

  • 15
음악교육연구 54권2호_표지_앞면(0602).png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runthung music as a manifestation of decolonization in music education, emphasizing cultural experience and community engagement. For decades, Indonesia’s music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largely shaped by Western music theory, reflecting the lasting influence of colonial hegemony in both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contexts. Using a qualitative phenomenological approa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irect observation of Trunthung music practices in the community around the slopes of Mount Merbabu, Magelang Regency, as well as interviews with key cultural figures such as Sutanto Mendut, Handoko Warangan, and Singgih Gejayan. The findings suggest that community-based learning through Trunthung music nurtures not only musical skills but also a strong sense of local identity and cultural awareness. This decolonial approach places local traditions at the center of music education, prioritizing lived experience and collective artistic expression over standardized theoretical frameworks.

본 연구는 음악 교육에서 탈식민화의 한 형태로서 트룬뚱 음악을 고찰하고자 한다. 트룬뚱 음악은 문화적 경험과 공동체의 참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지역 전통 예술로, 인도네시아 음악 교육에서 서구 중심의 이론과 체계에 의해 간과되어 왔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을 기반으로, 마겔랑군 메르바부산 기슭 지역 공동체 내 트룬뚱 음악 활동에 대한 현장 관찰과 함께, 예술가 수탄토 멘둣, 한도코 와랑안, 싱기 기자얀 등 주요 문화 인물들과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트룬뚱 음악은 지역 문화를 보존하고 공동체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며, 음악 교육이 단순한 이론 전달을 넘어서 살아있는 문화적 실천의 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탈식민적 접근은 지역 지식과 예술 표현을 교육의 핵심 요소로 재조명함으로써, 기존의 서구 중심적 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Ⅴ. Discussion

Ⅵ. Conclusion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