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움은 왜 색과 도형에 비유되는가? - 『필레보스』 12e~13a에 대한 하나의 해석 -
Why Is Pleasure Compared To Colors And Shapes? - An Interpretation Of The Philebus 12e~13a -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철학논집
- 제81집
-
2025.0589 - 119 (31 pages)
-
DOI : 10.17325/sgjp.2025.5..89
- 3

본고는 『필레보스』편 서론부에 담긴 색과 모양의 비유(12e~13a)를 탐구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 본 비유가 등장하는 맥락을 소개한다(II장). 이어서 필 자는 이 비유의 의미를 풀어본다. 『티마이오스』편의 논의를 참조한 해석에 따를 때 본 비유는 즐거움에 관련하여 다음 두 가지 사항을 알려준다. 먼저 한 즐거움을 그 즐거움이 되게 하는 그 요소가 그 즐거움을 다른 하나의 즐거움과 상반되게 된 다. 또한 각 즐거움을 특정한 즐거움이게 하는 바로 그 요소에 담긴 일종의 비례 관 계에 의해 즐거움 간 차이가 설명될 수 있다(III장). 이어서 필자는 이러한 해석이 대화편의 이어지는 핵심적 논의와도 잘 부합한다는 점을 확인한다. 먼저 즐거움을 여러 즐거움으로 구별하는 상술한 방법이 프로메테우스적 방법에 따라 하나를 여럿 으로 구별하는 방법과 상통함을 확인한다. 또한 본 작품 본론에 등장하는 즐거움의 구별법, 특별히, 적도를 기준 삼는 구별법이 좋은 즐거움과 나쁜 즐거움의 차이를 일종의 비례 관계의 차이로 설명하는 색과 도형의 비유의 의미를 잘 설명한다는 걸 보인다(IV장).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nalogy of colors and shapes in Plato’s Philebus (12e~13a). To this end, I first introduce the context in which the analogy appears (Chapter II), and then proceed to interpret its meaning. Drawing on the discussion in the Timaeus, I argue that the analogy reveals two key points regarding pleasure. First, the very element that constitutes a particular pleasure also serves to differentiate it from other pleasures. Second, the differences between pleasures can be explained by a kind of proportional relationship inherent in the very element that defines each pleasure (Chapter III). I then show that this interpretation aligns closely with the subsequent central discussions of the dialogue. In particular, I demonstrate that the method of distinguishing one pleasure from another in the analogy of colors and shapes corresponds to the Promethean method, which addresses the so-called One and Many Problem. I further argue that the method of differentiating pleasures found in the main part of the dialogue—specifically, the method based on the standard of the mean—provides a coherent explanation of the analogy of colors and shapes, which describes the difference between good and bad pleasures in terms of differences in proportional relationships (Chapter IV).
I. 들어가기
II. 『필레보스』11b~13b의 논의 소개
III. 색과 도형의 비유에 대한 탐구
IV. 색과 도형의 비유에 대한 해석의 정당화: 『필레보스』편 본론에 대한 탐구
V. 나가기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