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2022 개정 초등사회과 검정 교사용 지도서 구성 체제 분석 및 개발 방향 탐색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Framework of Authorized Elementary Social Studies Teacher’s Guides unde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Suggestions for Future Development

  • 39
사회과수업연구13-2_표지.png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검정 초등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의 구성 체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초등사회과에 적합한 지도서의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사용 중인 3‒4학년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 8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구성 방식 측면에서 모든 출판사가 온라인 플랫폼을 운영하며, 차시별 슬라이드, 활동지, 평가 자료 등을 전자저작물 형태로 제공하고 있었다. 둘째, 내용 구성에서는 출판사 간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수업 실행에 직접 활용 가능한 자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려는 공통된 노력이 확인되었다. 이처럼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교사용 지도서는 수업 현장의 편의성을 고려해, 그 어느 시기보다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즉시 활용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고자 한 노력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 방식은 수업 준비의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 발휘를 제한할 수 있는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용 지도서가 수업 자료의 양적 제공을 넘어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선택과 재구성이 가능한 형태로 발전되어야 하며, 동시에 교사 참여형 플랫폼과 유동적인 콘텐츠 구조를 갖춘 방향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framework of the authorized elementary social studies teacher’s guide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their further development.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composition of eight teacher’s guides currently used in third and fourth grade elementary social stud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tructural format, the teacher’s guides showed largely uniform patterns. All publishers operated online platforms and provided lesson-specific digital materials, including slides, activity sheets, and assessments. Second,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content organization among publishers, all made notable efforts to provide practical resources that could be directly applied in classroom instruc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current teacher’s guides emphasize instructional convenience more than ever before, providing an expanded range of ready-to-us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However, such an approach, while enhancing efficiency, may also constrain teachers' autonomy and professional judgment.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er’s guides should evolve beyond the quantitative provision of instructional materials toward a more adaptable model that enables teachers to exercise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through selective use and reconstruction. At the same time, it proposes a shift toward teacher-participatory platforms with flexible and interactive content structures.

Ⅰ. 들어가며

Ⅱ. 분석 방법

Ⅲ. 분석 결과

Ⅳ. 논의: 초등사회과 교사용 지도서 개발 방향

Ⅴ. 결론 및 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