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미술치료가 중년기 여성의 폐경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Postmenopausal attitude and Quality of Life of Middle Aged Women's
- 한국표현예술심리상담학회
- 표현예술심리상담연구
- 제3권 제1호
-
2025.035 - 22 (18 pages)
-
DOI : 10.69771/jeapc.2025.3.1.5
- 83

집단미술치료가 중년기 여성의 폐경에 대한 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거주하는 중년여성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6명씩 총 12명이 무선 배정되었다. 실험집단에는 2017년 7월부터 9월까지 주 1회 120분씩 총 12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별도의 처치를 받지 않았다. 자료 분석에는 Mann-Whitney U 검정과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활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관찰 기록, 참여자의 미술 작품, 프로그램 평가서를 통해 질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폐경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Z=-2.21, p<.05). 둘째, 삶의 질 또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Z=-2.20, p<.05). 셋째,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정서적 안정, 자기표현 증진, 사회적 지지 강화 등의 질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폐경기 여성의 심리적 안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 방법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group art therapy on menopausal attitudes and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12 middle-aged women residing in G City,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n = 6) or a control group (n = 6).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a total of 12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conducted once a week for 120 minutes from July to September 2017,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intervention.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Additionally, qualitative changes were analyzed through observation records, participants' artwork, and program evaluation reports collected during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resulted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menopausal attitudes (Z = -2.21, p < .05). Second, quality of life also showed a significant enhancement (Z = -2.20, p < .05). Third,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emotional stability, enhanced self-expression, and strengthened social support throughout the group art therapy proc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roup art therapy serves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n menopausal women.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