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과제 작성에 대한 텍스트 생성형 AI 활용 경험 및 인식 분석: 교육본위론의 관점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Using Text-Generating AI in Assignment Writing: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Education-as-the-Principle
- 74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텍스트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 경험 및 인식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교육본위론의 관점에서 조망하고자 하였다. 특히, 과제 작성 과정에서 생성형 AI 활용이 단순한 학습 보조 도구를 넘어 교육 자체, 즉 대학생의 상구태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4년제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응답자 총 423명의 응답 결과에 대해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활용 실태와 목적에 대해서는 대학생들의 생성형 AI 사용이 교과 수업 내외를 막론하고 일반화되었으며, 만족도나 향후 사용 의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이나 학습 효과 측면에서 과제 작성의 효율성 제고, 내용 이해나 아이디어 생성 등 긍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과 AI 답변의 정확도와 신뢰성 부족, 저자로서의 학습 윤리에 대한 불안, 독창성 저하 등 부정적 효과에 대한 우려가 공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상구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상구계 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소재 선택의 자유를 확대하며, 순차와 자조의 내재율을 보장하는 등 긍정적 경향도 나타났지만, 자조의 훼손이나 교육적 시숙의 저해, 저압제 강화 등 상구태를 약화시키는 부정적 경향 또한 드러났다. 넷째,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AI 활용이 증가하고 가르치는 사람을 대체할 수 없을 것이라는 인식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기존의 제도 중심 교육관이나 기능주의적 교육관 등 외재적 교육관의 한계를 벗어나, 교육 고유의 내재적 구조와 가치를 중심으로 한 생성형 AI 활용의 교육적 가능성과 과제를 경험적으로 확인하고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regarding the use of text-gene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examined them through the lens of the theory of education-as-the-principle(교육본위론). In particular, the study aimed to explore the impact of generative AI use in assignment writing not merely as a learning aid, but as a force influencing education itself—specifically or their self-directed educational posture.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n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423 valid respons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actual use, university students are rapidly increasing their adoption of generative AI tool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with overall satisfaction levels remaining high. Second, in terms of academic effectiveness, students acknowledged benefits such as improved efficiency in completing assignments, enhanced comprehension of course materials, and support for idea generation. However, they also expressed concerns about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AI-generated content, ethical issues related to authorship, and a decline in originality. Third, concerning the impact on education, participants showed above-average agreement with all seven items measuring the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of generative AI, while responses to the eight items related to negative effects showed below-average agreement on four of them. Fourth, with respect to future prospects, most students anticipated that the use of AI tools would continue to grow, but also affirmed that such tools cannot replace human educators. In conclusion, this study underscores the limitations of institution-centered and functionalist approaches to education and proposes both the educational potential and challenges of generative AI through the lens of internal educational criteria grounded in the theory of education-as-the-principl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