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대학생의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여가생활 만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on University Students' Happiness: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Leisure Life Satisfaction

  • 38
다운로드.png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이 행복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여가생활 만족이 조절효과를 갖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에 소속된 D대학교 재학생 151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의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은 삶의 만족과 긍정 정서에 부적 영향을, 부정정서에는 정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가생활만족은 삶의 만족과 긍정 정서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가생활 만족은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나, 긍정정서와 부정정서에 대한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여가생활 만족이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시사한다. 따라서 대학생의 행복 증진을 높이기 위해 여가활동의 활성화와 사회적 관계 형성을 위한 환경 조성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on th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amine whether leisure life satisfaction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is relationship.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51 students enrolled at D University in Gyeongsangbuk-do,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had nega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s, and a positive effect on negative emotions. In contrast, leisure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ed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s. Notably, leisure life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social isolation and life satisfaction, where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were found for positive or negative emo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eisure life satisfaction may help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and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romoting leisure activities and creating environments that support the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to enhance university students’ happiness.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