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집단치료놀이가 아동의 분노표현방식, 공격성,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Theraplay on children’s anger expression, aggression, and self-efficacy

  • 24
페이지 포함 파일 - 차례(한,영).pdf.png

본 연구는 집단치료놀이가 아동의 분노표현방식, 공격성,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경기도 소재 D초등학교 4학년 아동 14명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검사 각 1회기와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 10회기를 포함하여 총 12회기를 진행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Statistics 26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sample t-test), 비모수 통계 방법(Wilcoxon’s signed rank test)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 .05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집단치료놀이는 아동의 분노표현방식의 하위영역인 분노조절을 유의하게 증가시키고, 분노표출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분노억제는 사전보다 사후점수가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집단치료놀이는 아동의 공격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셋째, 집단치료놀이는 아동의 자기효능감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하위영역인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에서도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과제 난이도 선호는 사전보다 사후점수가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는 집단치료놀이가 아동의 분노표현방식, 공격성,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Theraplay on children’s anger expression styles, aggression, and self-efficacy. Fourteen fourth-grade students from D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 total of 12 sessions were conducted, consisting of one pre-test, one post-test, and ten Group Theraplay session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s 26, using paired-samples t-tests and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rank tests.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5. Results showed that, first, Group Theraplay significantly increased anger control, a sub-domain of anger expression styles, and significantly decreased anger expression. While anger expression scores at the post-test were lower than at the pre-tes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Group Theraplay significantly reduced children’s aggression. Third, Group Theraplay significantly enhanced children’s self-efficacy, showing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sub-domains of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ory efficacy.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was higher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effects of Group Theraplay on children’s anger management and expression patterns, aggression, and self-efficacy.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