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칭문화 구축 및 HR(Human Resources)의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A Scoping Review of the Establishment of Coaching Culture in Korea and the Role of HR(Human Resources)
- 아시아상담코칭학회
-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
- 제7권 제2호
-
2025.08135 - 150 (16 pages)
-
DOI : 10.47018/accr.2025.7.2.135
- 30

오늘날 급변하는 경영 환경 속에서 조직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인재 역량 강화를 위한 핵심 동력으로 코칭문화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HR(Human Resources)의 전략적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HR 관점에서 국내 코칭문화 구축과 관련된 학술 연구의 동향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코칭문화 구축을 위한 핵심 특성과 HR이 수행해야 할 전략적 역할을 도출하고자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문헌에서 논의되는 코칭문화의 주요 특성들이 명확히 구분되었으며, 코칭문화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HR의 다양한 전략적 역할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조직 환경에 적합한 코칭문화의 전략적 정착 방안을 제시하고, 향후 코칭문화 연구 및 HR 실무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In today’s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coaching culture has emerged as a crucial driver for sustainable organizational growth and talent empowerment, thereby increasing the strategic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HR). This study employed a Scoping Review methodology to deeply understand the trends of domestic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establishing a coaching culture from an HR perspective, aiming to identify the core characteristics for building a coaching culture and the strategic roles HR should play. The findings clearly delineated the key characteristics of coaching culture discussed in domestic literature and identified various strategic roles of HR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oaching cultu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strategic approaches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coaching culture tailored to the domestic organizational context and offer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advancing future coaching culture research and HR practice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