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명상코칭의 개념과 적용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A scoping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concept and application of meditation coaching in Korea
- 아시아상담코칭학회
-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
- 제7권 제2호
-
2025.08151 - 167 (17 pages)
-
DOI : 10.47018/accr.2025.7.2.151
- 24

본 연구는 명상과 코칭의 통합적 접근인 ‘명상코칭’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주제범위 문헌고찰 (scoping review) 방법으로 분석하여, 명상코칭의 개념 정의, 이론적 구조, 프로그램 적용 특성, 향후 연구 방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2000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문헌 중 명상과 코칭을 통합적으로 다룬 12편을 선정하였으며, Arksey와 O’Malley(2005)의 절차 및 PRISMA-ScR 지침에 따라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명상코칭 연구는 아직 이론적 구조화와 연구 지속성 측면에서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었으며, 일부 문헌에서만 명상과 코칭의 심리기제를 통합한 정의와 이론 구조가 제시되었다. 특히 명상은 감각적 자각과 정서 수용을, 코칭은 목표 설정과 실행을 강조하며, 두 요소의 상보성은 명상코칭의 핵심 기제로 나타났다. 일부 문헌을 중심으로 개념 정립, 구성 요소, 프로그램 효과 등을 비교 분석한 결과, 교육, 조직, 상담 영역에서 정서 조절, 자기 성찰, 실행력 향상 등의 효과가 보고되었으나, 연구 대상의 편중, 방법론의 제한, 디지털 기반 연구의 부재 등 한계도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명상코칭의 학문적 체계화를 위한 이론 통합,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혼합 방법론 적용, 기술 융합 기반 실천 모델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국내 명상코칭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domestic research trends on “meditation coaching,” an integrative approach combining meditation and coaching, through a scoping review. Twelve relevant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24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framework of Arksey and O’Malley (2005) and PRISMA-ScR guidelin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meditation coaching research in South Korea remains at an early stage, with limited theoretical development and continuity. While some studies proposed integrated definitions and models, most focused on combining meditation and coaching techniques without a unified framework. Meditation emphasized sensory awareness and emotional acceptance, while coaching focused on goal setting and execution—highlighting their complementary roles. The selected studiesreported positive effects such as emotional regulation, self-reflection, and improved implementation skills in educational, organizational, and counseling contexts. However, limitations were found in terms of participant diversity, methodological range, and a lack of digital-based research.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theoretical integration, the development of tailored programs, the application of mixed methods, and the creation of practice models utilizing digital technologies. These findings provide a foundational reference for advancing meditation coaching research in Korea.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