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참여적 뮤지엄 개념은 ‘소셜 오브젝트’를 통해 미술관 관람객 간의 대화와 상호 작용을 증진할 것을 권하는데, 이는 현대 미술의 감상 방식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에 기반하여 ‘온라인 소셜 오브젝트’라는 개념을 제안한다. 국립현대미술관 <론 뮤익> 전시를 바탕으로 성인 관람객 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소셜 오브젝트에 기반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체 자유 전시 관람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개별적 의미 형성과 공유 과정을 거쳤다. 둘째,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만큼 각 개별 참여자들의 심리스 러닝과 시공간 제약을 극복한 해석 과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현대 미술가가 작품을 통해 던지는 철학적 질문에 대해 참여자들은 다매체적으로, 그리고 과정적으로 대답을 할 수 있었다. 넷째, 타인의 감상을 통해 작품과 자신의 삶을 연결할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참여의 단계 증진을 경험하였으나, 이상적 참여 단계의 구체적인 모습에 대해서는 각기 다른 의견을 지녔다.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the concept of the participatory museum proposes the enhancement of dialogue and interaction among museum visitors through ‘social object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ways in which contemporary art is experienced. This study proposes the concept of ‘online social objects’ based on the transition to the post-digital era. An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for the Ron Mueck exhibition, utilizing online social object was implemented for nine adult visitors at the MMC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uring the group’s self-guided viewing of the exhibition, participants underwent a process of individual meaning-making and sharing. Second,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engage in interpretation that overcame spatial and temporal constraints through seamless learning. Third, participants were able to respond to the philosophical questions posed by the contemporary artist in a multimodal and process-oriented manner. Fourth, they were able to connect the artwork to their own lives through others’ interpretations. Although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progression in the stages of participation, they held differing views regarding the specific nature of the ideal stage of participation.
I. 서론
Ⅱ. 미술관에서 현대 미술 감상을 위한 온라인 소셜 오브젝트
Ⅲ. 연구 설계와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