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 교과서 정체성 역량 분석을 위한 블룸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사회정서학습·윌슨의 미술교육평가분류체계에 기반한 분석틀의 설계와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tegrated Analytical Framework based on BRT·SEL·ELAE for Analyzing Identity Competency in Art Textbooks based on the 2022 Rev.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 30

본 연구는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 미술 교과서에 반영된 정체성 역량의 체계적 분석을 통해 차기 교육과정 개정 및 교과서 개발에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술교육 지식의 형성과 수행의 통합적 상호과정에 주목하였으며 정체성 요소의 지식수준, 활동 내용, 행동 영역 내용 구성 분석을 위하여 신교육목표분류체계(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BRT), 사회정서학습(CASEL’s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 미술교육평가분류체계(Wilson’s Evaluation of Learning in Art Education, ELAE)를 통합한 종합적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분석 결과 정체성 역량은 감상 및 제작 활동 중심으로 구현되어 있었으며, 자기표현과 창의적 주체성, 자율성과 자기관리에 집중되어 있었다. 메타인지적 지식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대부분 활동 점검이나 자기관리의 촉진 수준에 머무르고 있었다. 이는 학습자의 자기 탐색과 성찰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교육 내용과 활동이 구조화될 필요가 있으며 향후 정체성 역량의 실질적 내면화를 가능하게 하는 활동 설계와 전략의 정교화가 요구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identity competency, a core element of the 2022 rev.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was reflected in 3rd & 4th grade elementary art textbooks. Emphasizing the integrated process of knowledge and artistic performance, the study developed an analytical framework based on BRT, CASEL’s SEL, and Wilson’s ELAE. Analysis of 16 art textbooks revealed that identity competency was primarily addressed through appreciation and production activities, with a focus on self-expression, creative agency, autonomy, and self-management. While metacognitive activities were present, they largely centered on task monitoring rather than deep reflection. These results highlighted the need to structure educational content and activities to foster self-exploration and critical reflection, suggesting that future art education should adopt more refined strategies to support the authentic internalization of identity competency.
I. 서론
Ⅱ. 정체성 역량 분석을 위한 이론적 기반 탐색
Ⅲ. 정체성 역량 중심 교과서 분석 틀 구성
Ⅳ. 초등 3~4학년 미술 교과서 분석
Ⅴ. 분석 결과 및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