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예술적 자기 탐색: 미술치료사의 감정 소진에 관한 자전적 예술 기반 연구

Artistic Self-Exploration: An Autoethnographic Arts-Based Research on the Emotional Burnout of an Art Therapist

  • 24
페이지 포함 파일 - 조형교육 95집_전체 통합 파일.pdf.png

본 연구는 반복적으로 감정 소진을 경험한 미술치료사가 예술이라는 매개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마주하고 이해해 가는 과정을 탐색한 자전적 예술 기반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 소진을 단순히 회피하거나 극복해야 할 부정적 상태로 보는 기존 관점에서 벗어나, 그 안에 머물며 자신의 존재를 재해석해 가는 내적 여정을 예술 창작과 자전적 글쓰기를 통해 생성한 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예술은 내면의 감정을 시각화하고, 언어화하기 어려운 정서를 드러내며, 자기 인식과 감정 회복을 위한 의미 있는 통로로 작용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예고 없이 덮친 감정의 파도’, ‘스스로를 몰아세우는 나, 잊혀진 나’, ‘나는 나의 치료사’라는 세 가지 주제를 도출하여 논의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미술치료사로서 반복적으로 경험한 감정 소진이 나의 심리적·신체적 상태에 미친 영향은 무엇이며, 이러한 감정은 예술적 표현을 통해 어떻게 드러났는가? 둘째, 자전적 예술 기반 탐색 과정에서의 예술 활동이 감정 소진을 겪고 있는 나에게 어떤 자기 돌봄의 의미와 정서적 변화를 가져왔는가? 본 연구는 감정을 돌보는 전문가들이 ‘전문가’라는 역할 뒤에 감춰진 내면을 마주하고, 스스로를 돌보는 여정을 시작하는 데 성찰적인 자기 회복을 위한 기초가 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is an arts-based autobiographical research that explores the process by which an art therapist, who has repeatedly experienced emotional burnout, confronts and understands her inner emotions through artistic expression. Rather than treating burnout as a condition to be avoided or simply overcome, the study frames it as an opportunity for deep self-reflection and emotional reconnection. Art served as a vital medium in visualizing unspoken feelings, allowing the researcher to engage with her emotional landscape and reclaim her sense of self. Through this process, three key themes emerged: ‘A Wave of Emotion That Hit Without Warning,’ ‘The Self That Drives and Forgets Me,’ and ‘I Am My Own Therapist.’ The research addressed two questions First, how has repeated emotional burnout as an art therapist affected my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ate, and how have these emotions been expressed through art? Second, what meanings of self-care and emotional transformation emerged through the autobiographical arts-based exploration? This study seeks to offer a reflective foundation for emotional labor professionals to recognize their inner selves and initiate a journey toward self-care and recovery.

I.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이미지와 글로 ‘나’를 마주하기

Ⅴ. 나가며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