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로 인해 실시된 삶의 질 증진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에서 치매안심센터 이용자들이 어떤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D구 치매안심센터 이용자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주 1회, 총 46회기 동안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였으며, 회기 자료, 면담, SNS에 기재된 참여자들의 글과 그림 등을 자료로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창의적인 미술 활동을 통해 노년기의 어려움을 다루는 방법을 습득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온라인 및 스마트기기 사용을 통해 세상과의 연결감을 회복하였다. 셋째, 참여자들은 그린 그림을 매개로 타인과 소통함으로써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교류를 증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COVID-19 사태 이후 스마트기기를 다루는 데 익숙해진 노인들을 위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사회적·정서적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users of a dementia care center during non-face-to-face group art therapy implemented to improve quality of life due to COVID-19, and the meaning of these experiences. To this end, seven users of the Dementia Care Center in District D, Seoul,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Non-face-to-face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a total of 46 sessions. Data from session data, interviews, and participants' writings and drawings posted on social medi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learned how to cope with the challenges of old age through creative art activities. Second, participants regained a sense of connection with the world through online and smart device use. Third, participants formed social relationships and enhanced interaction by communicating with others through their drawing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and emotional programs utilizing digital media for older adults who have become accustomed to using smart devices since the COVID-19 outbreak.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