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사회복지조직의 리더십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the Turnover Intention among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 24
표지-1.png

본 연구는 현재 근무하는 사회복지조직에서 6개월 이상 근무경력이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십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사회복지사 281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매개회귀분석, Sobel test 등을 실시하였다.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은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거래적 리더십과 이직의도, 변혁적 리더십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고, 이직의도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dership on turnover intention among social workers who have been employed for at least six months in a current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t also seek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To this end, survey data from 281 social workers in Jeju region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obel test. Both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Furthermore,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as well a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strategies were suggested to improve social workers’job satisfaction and to minimize their turnover inten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