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관리에서 실천가–클라이언트 간 권력 불균형은 클라이언트 중심성, 참여성, 상호성과 같은 핵심 가치를 제약하는 구조적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는 권력 불균형이 사례관리 현장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작동하며, 재생산되는지를 Foucault의 통치성(governmentality) 개념과 Bourdieu의 상징폭력(symbolic violence)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신자유주의 복지담론, 제도화된 실천 구조, 실천가의 권위와 전문가 주의는 권력 불균형을 구성하는 핵심 요인으로 작동하며, 이는 성과 중심의 개입, 표준화된 절차, 실천가의 발화 권위 등과 같은 실천 기술을 매개로 수행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권력관계는 실천 초기부터 특정 담론과 제도, 실천 기술을 통해 위계를 형성하며, 실천가와 클라이언트를 각각 규율하는 주체와 순응하는 주체로 구성하고 재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관리의 권력 불균형은 단순한 윤리적 문제나 개입 기술의 한계를 넘어, 실천 전반에 걸친 구조화된 권력 메커니즘의 문제로 규명되었다.
In case management, the power imbalance between practitioners and clients has been pointed out as a structural problem that restricts core values such as client centeredness, participation, and mutuality. This study analyzed how power imbalances are formed, operated, and reproduced in the case management field, focusing on Foucault's concept of governmentality and Bourdieu's concept of symbolic viole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neoliberal welfare discourse, institutionalized practice structure, practitioner's authority and professionalism act as key factors constituting the power imbalance, and it was analyzed that this is carried out through practical skills such as performance-oriented intervention, standardized procedures, and practitioner's speech authority. It was found that this power relationship forms a hierarchy through specific discourse, institutions, and practical skills from the beginning of practice, and constitutes and reproduces the practitioner and the client as the subject of discipline and compliance, respectively. The power imbalance in case management has been identified as a problem of structured power mechanisms throughout practice beyond simple ethical issues or limitations of intervention skills.
Ⅰ. 서론
Ⅱ. 이론 및 문헌 검토
Ⅲ. 권력 불균형의 형성 구조
Ⅳ. 실천 현장에서의 권력 불균형 작동 분석
Ⅴ. 권력 불균형의 재생산 메커니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