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건설기술’ 단원 체제 분석
The Analysis of Construction Technology Unit Content of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 based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15

이 연구의 목적은 건설기술 수업에 필요한 기초 자료의 제공을 위해,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서 건설기술 단원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그 내용을 파악하여 연구 결과와 제안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분석 대상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중학교 기술․가정에서 건설기술 단원을 담고 있는 교과서 10권이며 각각의 단원 구성 및 체제와 더불어 구성 내용요소에 대한 심화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설기술 단원의 구성과 조직요소 분석 결과이다. 교과서를 편찬한 출판사별로 지향점과 중점 가치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단원의 구성과 조직에서 다양한 모습을 보였다. 기존 건설기술 단원은 기술․가정 ①에만 수록되었던 반면 새로운 교과서에서는 기술․가정 ① 또는 ②에 수록되었고, 각 단원마다 명칭이 다양하였으며 일부 교과서에서는 지속 가능한 기술과 융합이라는 대단원 아래 정보통신기술이나 전기전자 관련 단원이 함께 수록되어 있었다. 건설기술 단원의 수도 중단원이 1~3개, 소단원이 0~8개로서 교과서별로 큰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건설기술 단원의 내용 구성 요소 분석 결과이다. 교과서마다 동기유발 자료의 제시 위치나 내용에서의 차이점이 있으나 대부분 예측, 조사, 토론 등의 사고활동 위주의 자료라는 공통점이 있었으며, 혁신 기술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시대에 발맞추어 건설기술 관련 혁신사례에 대한 자료가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제공되었다. 또한 교과서마다 세부적인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의 출판사에서 문제해결 활동의 주제로 지속 가능한 건설물 제작과 관련된 내용을 수록하였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형태와 주제의 학생 체험활동 자료를 통해 학생들이 제작하거나 사고 및 토론과 조사를 할 수 있는 내용이 구성되어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을 반영한 교과서의 내용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그 차이점을 충분히 인지하여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자료를 찾아 교수학습자료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과서 내용 구성면에서는 디지털과 AI 사용 능력과 소양 함양, 창의혁신, 지속가능 등의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과 방향성을 적용시켜 미래 인재 육성을 위해 보다 다양한 주제와 접근법이 사용된 학생 활동 자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ssential resources for teaching construction technology by comparing and analyzing construction technology units in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based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en textbooks containing such units were analyzed, focusing on unit structure and detailed content elements. First, the analysis of unit composition revealed variations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focus and values of each publisher. While previous editions included the construction unit only in Volume 1, some new textbooks included it in Volume 2, with diverse unit titles. In some cases, the unit was combined under broader themes like sustainable technology or convergence with ICT and electronics. The number of sub-units varied significantly, ranging from 1 to 3 middle units and 0 to 8 sub-units. Second, the analysis of content elements showed that, despite differences in the placement and type of motivational materials, most textbooks included thinking-centered activities such as prediction, research, and discussion. Many also introduced examples of innovative construction technology. Although detailed approaches differed, most textbooks addressed sustainable structures through problem-solving tasks and offered various experiential activities encouraging making, thinking, discussion, and investiga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to recognize textbook differences when reconstructing curricula and selecting appropriate teaching materials. It is also suggested that future textbook development should further reflect core directions of the 2022 curriculum-such as digital and AI literacy, creativity, and sustainability-by offering diverse topics and activity-based content to nurture future competenci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