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국내 대인서비스직 종사자의 소진 감소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25년 2월까지 출간된 총 65편의 연구논문을 선정한 후, 무선효과모형으로 212개의 효과크기를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효과크기는 .89로 나타나,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참여자 유형은 임상적 진단 기준을 초과한 집단을 대상으로 할 때, 집단 크기는 16∼20명으로 구성할 때, 주당 회기 수는 2회 이상 실시할 때, 숙제는 제시하지 않을 때, 회기별 소감 나누기는 실시할 때, 프로그램 유형은 ACT 기반 프로그램으로 구성할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셋째,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소진 단일 목적의 경우가 소진 외 다목적의 경우보다 더 효과적이었으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인서비스직 종사자의 소진 감소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과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과 제언을 논의했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group programs designed to reduce burnout among human services professionals in Korea by using meta-analysis. A total of 65 studies were selected, and 212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using a random-effects model.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was found to be .89, indicating a large effect. Second, regarding moderator variables, programs were most effective when implemented for individuals exceeding clinical burnout thresholds, consisting of 16 to 20 group members, held two times or more per week, excluding homework, including session reflection sharing, and based on ACT. Third, regarding dependent variables, programs targeting only burnout were more effective than those addressing multiple outcome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group programs aimed at reducing burnout among human services professional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0)
(0)